비문학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비문학 기록법

woody-story2 2025. 7. 5. 07:04

디지털 시대는 정보를 다루는 방식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종이책 중심의 시대에서는 밑줄 긋기와 손글씨 메모가 기록의 전부였다면, 지금은 수많은 앱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효율적인 독서 기록이 가능하다. 특히 비문학 독서는 정보의 구조와 개념 이해가 핵심이기 때문에, 디지털 환경에서 그 내용을 정리하고 저장하는 것은 독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한 문장을 저장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그 문장을 어떤 방식으로 구조화하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지까지 고려하는 것이 디지털 시대의 독서 전략이다.

디지털 도구로 비문학 기록하는 법

 

비문학 독서는 문학 독서보다 정보 밀도가 높기 때문에, 단순 암기보다는 체계적인 분류와 요약이 필요하다. 이때 디지털 플랫폼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기록이 가능하고, 검색 기능과 연동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다시 꺼내 쓸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태블릿에서 읽은 책 내용을 구글 킵에 저장한 후, 그 내용을 노션으로 정리하고, 나중에 블로그 글이나 유튜브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디지털 환경은 이러한 유기적인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는 단순히 읽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디지털을 통한 체계적인 독서 기록이 필수적인 시대다.

 

적절한 도구 선택이 기록의 깊이를 결정한다

디지털 환경에서 비문학 독서를 기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출발점은 어떤 도구를 선택하느냐이다. 같은 책을 읽더라도, 메모를 정리하는 방식이나 저장하는 시스템에 따라 정보의 활용도와 깊이는 천차만별이 된다. 비문학 기록에 적합한 도구는 ‘구조화가 가능하고’, ‘정보 검색이 쉬우며’, ‘반복 사용이 가능한’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 메모 앱보다는 기능이 확장된 도구들이 선호된다.

대표적인 디지털 도구로는 노션(Notion), 워크플로위(WorkFlowy), 에버노트(Evernote), 구글 킵(Google Keep), 옵시디언(Obsidian) 등이 있다. 이들 중 어떤 것을 선택하든 중요한 것은 ‘기록을 자산화할 수 있는가’에 있다. 예를 들어 노션은 템플릿 기반으로 구조를 고정해 반복적 기록이 가능하고, 워크플로위는 리스트 기반으로 개념 중심 정리에 유리하다. 반면 옵시디언은 로컬 저장 기반에 마크다운 기능을 갖춰 학문적 기록에 적합하다. 각 도구는 목적에 따라 강점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독서 목적과 습관을 먼저 파악한 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좋은 도구는 기록을 편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깊이 있게 만드는 도구다.

 

비문학 독서에 맞는 구조적 정리 전략

비문학 책은 이야기보다 정보가 중심이다. 개념, 원리, 데이터, 사례 등 다양한 정보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이를 단순하게 메모하거나 감정적으로 요약하는 방식은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비문학 독서에서는 논리적 구조에 따라 기록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구조적인 정리를 위해서는 일정한 틀과 순서를 미리 설정해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템플릿을 생각해볼 수 있다:
① 핵심 개념 → ② 구체적 사례 → ③ 작가의 주장 → ④ 내 생각 → ⑤ 적용 방안

이처럼 일정한 틀을 바탕으로 디지털 도구에 내용을 기록하면, 동일한 기준으로 여러 권의 책을 비교하고 통합하는 것이 쉬워진다. 예를 들어 ‘시간관리’에 대한 책 5권을 읽고 동일한 구조로 기록했다면, 서로 다른 작가의 주장과 팁을 비교하며 나만의 실행 전략을 만들 수 있다. 이는 곧 블로그 글, 전자책, 강의 자료로도 확장된다. 또한 비문학 독서는 문장을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논리를 읽는 훈련'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사고의 틀을 디지털로 재현하는 것이 바로 비문학 독서에 최적화된 기록 전략이다.

 

기록법의 핵심은 ‘재활용 가능한 정보 자산화’

단순히 기록만 하는 것은 오래 가지 않는다. 아무리 정리해도 나중에 꺼내어보지 않는다면 무의미하다. 그래서 기록법의 핵심은 ‘재활용 가능성’에 있다. 즉, 언제든 꺼내어 쓸 수 있는 형태로 정리돼야 하며, 이를 위해선 분류 체계와 검색 체계가 함께 구축돼야 한다. 디지털 도구의 강점은 여기에 있다. 비문학 기록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하고, 태그를 붙이고, 내부 링크를 연결해두면 정보는 살아 있는 자산이 된다.

예를 들어 '자기계발', '경제', '글쓰기', '심리학' 등의 주제로 책을 분류해두고, 각 책에서 인상 깊은 문장을 ‘인사이트’라는 태그로 묶어두면, 훗날 콘텐츠를 만들 때 단 5초 만에 관련 정보를 모을 수 있다. 또한 ‘이 내용을 블로그 글의 서론에 쓰자’, ‘이 사례는 영상 콘텐츠로 적합하다’와 같이 실제 활용 방안까지 기록해두면 콘텐츠 생산 속도는 놀라울 정도로 빨라진다. 중요한 것은 기록을 ‘보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쓰고 연결하는 것’이다. 기록법이 단순 정리를 넘어서 창작의 재료가 될 수 있어야 진짜 자산으로 작용한다.

 

기록한 내용을 실전 콘텐츠로 활용하는 방법

아무리 디지털 도구를 잘 쓰고, 기록을 잘 남긴다고 해도 그것이 실질적으로 활용되지 않으면 의미가 반감된다. 비문학 독서를 통해 정리된 내용을 실제로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다. 활용이란 결국 콘텐츠화, 즉 글쓰기, 강의 제작, 영상 콘텐츠 구성, 인스타그램 카드뉴스, 전자책 제작 등으로의 확장을 의미한다. 이 확장을 위해서는 독서 기록이 텍스트 조각이 아닌, ‘콘텐츠 블록’ 형태로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한 책에서 ‘고객 심리의 3단계’를 배웠다면, 그것을 그대로 요약하지 말고 '내가 운영하는 스마트스토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까지 함께 정리해두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이 내용은 블로그 글로도, 전자책 챕터로도, 유튜브 영상 스크립트로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도구는 이런 정보 블록을 복사하고 재배열하는 데 탁월하다. 결국 비문학 독서 → 디지털 기록 → 콘텐츠 재가공의 순환 구조가 완성되면, 독서는 수익으로 이어지고, 기록은 자산이 된다. 이 과정을 꾸준히 반복하여 콘텐츠 생태계를 풍부하게 만들어 보자.